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수락산#기차바위
- 강화마니산 #장수사 #장어마을
- 가야산상왕봉#칠불봉
- 인스파이어아레나#sbs트롯대전
- 관악산
- 내변산
- 바다향기로길#봉포항#남애항스카이전망대#사근진해변@농협설악수련원
- 양양짚라인 #하조대 #죽도해변 #경포대
- 선운산
- 김창옥콘서트#안양아트센타
- 관악산케이블카능선
- 용문산관광지#양평산음휴양림#양수리
- 경반계곡
- 한라산 #영실축제 #윗세오름
- 오월의하루산악회 #오월의하루
- 천마산#오월의하루산악회
- 나트랑#달랏
- 정선함백산 #오월의하루산악회
- 불암산
- 2025새해일출
- 양양송이밸리휴양림
- 제비봉 #악어봉 #게으른악어
- 궁평항#대하구이#전어회#킹크랩
- 관악산#자운암능선
- 제천의림지
- 안양예술공원
- 함백산추모공원#가평클럽피쉬빌라스#에델바이스스위스테마파크
- 수락산
- 오월의하루산악회
- 광명동굴
- Today
- Total
뾰족마녀의 큰 세상(쑤니)
부동산임대소득금액의 계산방법 본문
직장에 다니는 나상속 씨는 얼마 전 아버지로부터 상가 건물을 상속받게 되었다. 그는 직장에 계속 다니면서 상속받은 건물을 가지고 임대업을 해보기로 결정했다. 임대업이라는 게 전혀 어려울 것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곧 ‘세금’에 대해 두려움을 갖기 시작했다. 직장을 다니면서 부동산 임대업을 하게 되면 세금이 얼마나 부과가 될지 걱정됐기 때문이다.
부동산을 임대하는 경우에는 부동산 임대에 따른 부동산 임대소득에 대해 소득세가 과세되며, 부동산 임대자가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부동산임대소득과 다른 소득이 합산되어 종합소득세가 과세된다.
부동산을 임대하는 경우의 수익률은 부동산의 임대에 대한 소득세의 크기에 따라서 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부동산임대소득금액의 계산방법
부동산을 임대하고 임대료를 수입하는 경우에 소득금액의 계산은 임대료 수입금액에서 관련비용을 차감하여 계산하게 된다.
* 임대소득금액 = 임대수입금액 - 필요경비
▶ 임대수입금액
임대수입금액은 매월 임대료로 받은 임대료의 연간 합계액이다.
부동산의 임대시에 보증금을 받는 경우에는 보증금에 연 5%이자로 환산한 금액을 간주임대료로 계산하여 수입금액에 가산한다. 하지만 주택의 임대의 경우에는 간주임대료를 계산하지 않는다.
▶필요경비
부동산의 임대시의 필요경비는 임대료를 수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으로 임부동산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인의 급여 및 임대부동산의 수리비와 임대용부동산을 구입하기위해 금융기관에서 차입한 차입금의 이자 및 임대건물의 감가상각비 등 임대수입금액에 대응하는 비용이 필요경비로 계상 된다.
부동산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상의 특징
▶ 다른 소득과 합산되어 종합소득세가 과세된다.
부동산의 임대소득은 임대자의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가 과세되므로 소득금액의 커짐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되게 된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다른 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사람의 명의로 부동산을 구입하여 임대하는 경우에는 누진세율의 적용을 피 할 수 있어 부동산임대에 따른 수익률을 더 높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부동산의 취득에 따른 자금출처조사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증여세의 배우자공제액(10년간 3억원 -> 2008년 6억원 예정)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 부동산구입자금에 대한 차입금의 이자부담액이 필요경비로 인정된다.
부동산의 구입자금에 금융기관의 차입금이 있는 경우에는 장부를 기장하는 경우에 차입금에 대한 이자를 비용으로 공제하게 된다. 낮은 이자율로 차입하여 높은 요율의 임대수익을 올릴 수 있다면 이자율 차이만큼의 수익률을 올리게 된다.
주택의 임대에 대한 과세상의 규정
▶ 1주택의 임대에 대한 비과세
주택임대에 대하여는 고가주택을 제외한 1주택을 임대하는 경우에는 주택임대에 따른 소득세가 과세 되지 않는다. 이때의 주택수의 계산은 주택소유자와 배우자의 주택을 합하여 계산하며 고가주택이란 과세기간 종료일(12.31) 현재 기준시가가 6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말한다.
주택을 1채만 보유한 사람이 보유주택을 임대하는 경우의 임대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으므로 비과세를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 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가 계산 되지 않는다.
다른 부동산을 임대하는 경우에는 보증금을 받는 경우 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가 연5%이자율로 계산하여 과세되지만 주택의 임대시에는 간주임대료가 계산 되지 않는다.
주택을 2채 이상 소유하여 임대하는 경우 주택임대에 따른 소득세가 과세 되나월 임대료 없이 보증금만 받고 임대하는 경우에는 소득세가 과세 되지 않게 된다.
모든 세금의 절세방법이 그렇듯이 부동산의 임대소득에 대해서도 부동산임대에 대한 과세상의 특징을 알고 활용하게 되면 더 많은 임대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된다.
'♡ 이일저일 ♡ > 세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08년 달라지는 새해 부동산제도 (0) | 2007.12.05 |
---|---|
절대로 공제받지 마세요! (0) | 2007.11.30 |
사업자가 꼭 알아야 할 ‘지출증빙과 경비관리’ (0) | 2007.08.20 |
[스크랩] [꼭 필요한 세금상식] 해외부동산 투자 (0) | 2007.08.02 |
'부부 공동명의’의 세금혜택 (0) | 2007.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