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마실 것인가, 부을 것인가
:: 물을 마실 것인가, 부을 것인가
사하라 사막을 여행하던 한 사람이
목이 말라 고통스러워하다가
펌프 하나를 발견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펌프 속에는
물이 한 방울도 없었다.
실망하면서 돌아서려다
펌프에 적혀 있는 글을 읽게 되었다.
“펌프에서 동쪽으로
2m쯤 되는 곳의 모래를 파헤치면
큰 돌이 나올 것입니다.
그 돌을 들면 플라스틱 통이 있습니다.
통 안에는 물이 가득 있으나
절대로 마셔서는 안 됩니다.
먼저 물을 4분의 1쯤 펌프에 부어서
메마른 가죽을 축이십시오.
약 15분 정도 지나면 가죽이 다 불어나게 되는데,
이때 통의 물을 서서히 부으면서
계속 펌프질을 하십시오.
그러면 당신은 넘치는 물을 얻을 것입니다.
그리고 처음 있던 물통에 물을 넣어서
마개를 꼭 막아 다시 제자리에 놓은 후
돌을 덮고 그 뒤에 모래를 덮어 두십시오.”
누구든지 돌 밑에 있는 통의 물을 발견했을 때
유혹이 생겼을 것이다.
‘이 물을 조금 마시면 안 될까?
만일 펌프에 물을 다 부어도
샘물이 나오지 않으면 어떡하지?’
하지만 통에 있는 물은
한없이 많이 흘러가는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데
꼭 필요한 것이다.
만일 그 물이 없으면
지하수도, 펌프도 아무 소용이 없다.
다행히 그 펌프가 계속해서
사막을 지나는 사람들의 목을 시원하게 해 주는
생명수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많은 사람의 유익을 위해
자신의 욕구를 절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어느 한 사람이라도 자기만을 위해
통 속에 있는 물을 마셔 버렸다면
뒷사람들은 모두 목이 말라
고통 속에서 사막을 건넜거나
죽고 말았을 것이다.
=========================
시간 전망(time perspective)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내가 어떠한 행동을 할 때에
얼마나 먼 미래까지 영향을 끼칠까를
고려하는 것을 말합니다.
감정이나 행위에 있어서
성숙한 사람은 현재의 시계를
더 넓고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눈 앞의 것만을 바라보며 일처리를 하면
삶의 전체가 흔들릴 수 있고
그것의 여파는 비단 나 한 사람에게뿐 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가족과 또,
내가 속해있는 사회집단에까지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 하나쯤이야.. 가볍게 생각하고 행하는 것들이
또 조급한 마음에 내리는 결정들이
넓게 여유를 갖고 사물을 바라보면
조금은 달리 보여질 것입니다.
:: 자연의 신비 버섯...










































